📬 RSS로 구독하기
📬 RSS로 구독하기
본문 바로가기
정부지원/긴급 정책, 이슈

2025 하반기 정부지원금 총정리

by 수겸언니 2025. 4. 27.

 

2025년 하반기, 정부는 다양한 지원금 정책을 발표했습니다.


청년부터 노년층, 소상공인까지 폭넓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인데요.
지금부터 2025년 하반기 정부지원금을 분야별로 총정리해드릴게요!

 

 


1. 청년 대상 지원금

(1) 청년도약계좌 지원

  • 만 19세 ~ 34세 청년 대상
  • 최대 5년간 월 납입액 + 정부 지원금 + 이자로 목돈 마련 가능
  • 월 40만원 납입 시 최대 5천만원 수령 가능

(2) 청년내일저축계좌

  • 연소득 3,600만원 이하 청년 대상
  • 3년간 매달 10만원 저축 → 정부가 추가 지원 (최대 1,440만원 수령)

Tip: 청년도약계좌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니

        본인 상황에 맞는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.

 

 


2. 신혼부부 및 출산 가정 지원

(1)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지원

  • 부부합산 연소득 8천만원 이하(자녀 1명 이상 시 1억원 이하)
  • 저금리로 최대 3억원 전세자금 대출 가능

(2) 첫만남이용권

  • 2025년 출생 아동 대상 1인당 200만원 지급
  • 출산 축하금 성격으로, 자유롭게 사용 가능

(3) 양육수당 인상

  • 만 0세 ~ 7세 아동 대상 월 최대 30만원 지급
  • 어린이집 이용 여부에 관계없이 지원

 


3.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지원

(1) 희망플러스 특별대출

  •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대상
  • 연 1.5% 고정금리로 최대 2천만원 대출 지원

(2) 소상공인 전기요금 지원

  • 에너지 비용 급등에 따른 전기요금 일부 지원
  • 사업자등록번호로 신청 가능, 최대 50만원 한도

Tip: 소상공인 정책자금 누리집 또는 지역 신용보증재단에서 신청 가능하니 잊지 말고 챙기세요.

 

 

 


 

4. 중장년·노년층 지원

(1)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 확대

  • 소득이 낮은 취약계층 가입자 대상
  • 최대 월 4만5천원까지 보험료 지원

(2) 노인 일자리 사업

  • 만 60세 이상 노년층 대상 공공일자리 제공
  • 월 30~50만원 수준의 급여 지급

(3) 기초연금 인상

  • 만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, 최대 월 35만원 지급

Tip: 기초연금은 소득 하위 70% 이내 어르신이면 신청 가능하니, 조건을 꼭 확인해보세요.

 

 

 


5. 기타 주목할 지원금

  • 에너지바우처 확대: 겨울철 에너지 비용 부담 경감을 위해 저소득층 대상 지원금 대폭 인상
  • 긴급복지 지원 확대: 위기 상황(실직, 부상 등) 시 생활비·의료비 신속 지원
  • 농어업인 수당 확대: 농어업인 대상 연 120만원 지급

Tip: 대부분의 지원금은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또는 각 시·군·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 


마무리

2025년 하반기 정부지원금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,
국민 생활안정과 경제 활력 회복을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.


본인이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을 놓치지 않고 꼼꼼히 챙기는 것이 중요해요!

 

지금 바로 해당 기관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,
신청 조건을 확인해보세요.


하루라도 빨리 신청하면, 한 푼이라도 더 아낄 수 있습니다. 🌷

 

반응형